다 같은 울음이 아니라구

준이가 울면 마음이 아프다가도 도저히 안달래지면 답답하고 짜증이난다. 그런데 얼마전 준이의 울음이 상황에따라 미묘하게 다르다고 느꼈다. 특히 배고플때나 잠이 올때는 뭔가 엄청 불편한 내색을 하는 것 처럼 보였다.

진짜 그런건지 아님 기분탓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그냥 투정부리는 울음은 어느정도 구분이 되는 것 같다. 몇주전에는 투정부리는 듯한 울음이 없었는데 요 근래에는 준이도 점점 눈치를 보게되는지 가짜 울음이 생긴것이다.

그러다보니 이제 울면 무조건 달래주는 방법으로는 무리가 있었다. 흔히 손탄다고 하는데 울때마다 안아주면 일부러 더 우는것같은 기분이다.

일단은 표정을 먼저 살핀다. 가짜울음은 소리만 낼 뿐 눈물도없고 얼굴에 피도 안쏠린다. 가장 구별하기 쉬운 단계다.

다음은 얼굴이 피가 쏠려 보라빛이 되면서 눈물은 없을때다. 이건 구분하기가 쉽진 않다. 그래도 가만 들어보면 진짜 울음은 숨을 헐떡이면서 그냥 으앵 으앵 이러는게 아니라 으애해행 해해행 이런느낌이 든다. 가짜울음은 힘을 하도줘서 얼굴이 보라빛이 되긴 하지만 숨이 넘어갈것처럼 헐떡이진 않는다. 그냥 소리만 빽 지르는 것일 뿐.

마지막으로 얼굴에 피가 쏠려 보라빛이 되면서 눈물도 질질 흘리고 있을때는 진짜 울음일 확률이 크다. 아직은 준이도 이 단계까지 연기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듯 싶다. 시간이 좀 더 지나고 준이가 연기력(?)이 늘면 아마 눈물도 쥐어 짜는게 가능할 듯 싶다.

단순히 투정부리는 가짜울음을 구분해냈으면 반은 성공이다. 이제 이 울음이 배고픈지 잠이오는지 기저귀가 찝찝한지 아픈지를 구분해내야한다.

프로 아빠가 되기 위해선 반드시 익혀야할 패시브 스킬이다.

일단 잠이 올때에는 길게 울지 않는다. 잠깐 울었다 말고 또 잠깐 울었다 만다. 그 시점에서 토닥여주거나 안고 조금 돌아다니다보면 금새 눈이 스르륵 감긴다. 물론 내려놓으면 금방 또 깰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잠들때까지 긴장을 놓아선 안된다. 우리는 수면 교육을 하기때문에 품에서 재우는 것은 금지!! 일단 눈이 감기면 바로 내려놓는다. 그러다 또 울면 다시 안아주고를 반복.

배고플 때의 울음은 테이크가 상당히 길다. 한번 배고프다고 생각이 들면 먹일 때 까지 운다. 우리는 수유량과 시간을 체크하기 때문에 차트를 보면 대충 배고파서 우는지 아닌지 알수가 있긴하다.

기저귀가 찝찝할때에는 조용하던 애가 갑자기 울거나 할때다. 울음 소리는 배고픔과 졸림에 비해 좀 작은 편이다. 밥과 잠이 아니라면 항상 기저귀를 먼저 확인해보기 때문에 딱히 구분해야할 필요는 없긴하다.

마지막으로 아플때인데 이건 준이가 아파본적이 없어서 들어본적이 없다. 가끔 이유를 모르게 울때가 있는데 100일 전 아이에게 흔히 있는 영아산통 즉 성장통이란다. 이건 병원을 가야하는 아픔이 아니라 근육통 비슷한거라 간단히 마사지를 해주거나 그냥 달래주는수밖에 없다. 크면서 자연스레 생기는 아픔이기 때문에 어쩔수가 없다. 다행히 그 외에 열이나거나 다치거나 한적은 없다.

점점 울음소리가 다양해지는걸 보면서 빨리 준이와 대화를 하고 소통을 하고싶다는 생각을 했다. 일방통행이 아닌 쌍방의 소통.

육아를 하다보면 늘 오늘같을거 같은데 자고일어나면 늘 상황이 변하고 매일매일이 새롭다.

아니 새롭다못해 너무 변화무쌍해 적응하기가 힘들정도.

정신 바짝 차리지않으면 방심한 사이에 준이가 멋대로 자라버릴것만 같다.
우는 것 밖에 못하는 준이지만 제대로 이해해보도록 더 노력해야겠다.